2023. 11. 29. 09:18ㆍDB
티베로의 이중화 구성으로는 총 3가지 종류가 있다.
1. HA(High Availibility)
2. TSC(Tibero Standby Cluster)
3. TAC(Tibero Active Cluster)
아래 표는 이중화들을 간단하게 구분한 표이다.
Active-Standby 구성인가? | Active-Active 구성인가? | 공유 스토리지를 사용하는가? | |
HA | O | X | O (File System) |
TSC | O | X | X |
TAC | X | O | O (Raw Device) |
[HA구성]
[HA엔진 설치 위치에 따른 차이]
[TSC 개요]
[TSC에서 사용하는 특수 프로세스]
[TSC 로그 전송 방식]
[Primary 설정 및 운용]

[Standby 설정 및 운용]
[Standby의 read only 모드]
[TSC Failover]
[TSC 클라이언트 설정]
[TSC 정보 조회]
[TSC 제약사항]
[TAC]
TAC 구성은 control file과 data file을 공유하여 사용하며, 각 instance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redo, undo, arch 등은 각각의 instacne가 가지고 있게 된다. 각각의 instanc는 CM이 관리하게 되며 INTER-CONNECT를 통해 정보를 공유한다.
[TAC 특징]
REDO LOG
반면 TAC에서는 공유 디스크에서 데이터 접근의 경합을 최소화하기 위해 Redo 로그 및 Undo에 대해서는 인스턴스마다 별도의 파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.
Redo 로그 그룹 번호는 데이터베이스 전체에서 유일해야 함
주의할 점은 Redo 로그 그룹의 번호는 Redo 스레드 내에서가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전체에서 유일해야 하므로 이미
사용된 0,1,2를 사용할 수 없다. 또한, 최소한 두 개 이상의 Redo 로그 그룹이 존재해야만 해당 Redo 스레드를 활성화.
복구 실행 시
T2는 다운시키고 T1에서는 mount 상태로 한다.
T1에 T1, T2 아카이브로그를 모두 넣어놓고 복구시킨다.
복구가 끝나면 T2는 다시 올리기만 하면 된다.
→ T1, T2는 그저 인스턴스 이기 때문에 T2는 그저 올리기만 한다.
RAW DEVICE
DML 작업 시 select 비중이 늘어날 수록 raw device와 file system의 성능 차이는 없고 insert, update, delete 비중이 많을 수록 raw device 성능이 극대화된다.
TBCM
[HA과 TAC 비교]
*GPFS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bero] TAC to Single DB로 백업 복구 (0) | 2023.11.29 |
---|---|
[Tibero] TAC 구축 (2) | 2023.11.29 |
[Oracle] 지연 쿼리 확인 SQL과 슬로우 쿼리 확인 SQL (0) | 2023.11.28 |
[Oracle] SQL Developer를 이용한 Data Export/Import (0) | 2023.11.28 |
[Oracle] SQL Developer 접속 방법 (0) | 2023.11.28 |